오랜 기간동안 압박 당하거나, 부상, 갑자기 강한 힘을 사용하는 움직임 등으로 인해 이 디스크는 돌출되기도 하고 잘 오고, 평균 신장보다 큰 사람이나 직업상 장시간 앉아서 파열되기도 합니다. 이 손상된 디스크는 주변 신경을 자극하여 통증을 유발하는데 이를 소위 ‘디스크’라 불리는 ‘추간판 탈출증’ 입니다.
주로 요통과 허리 아랫부분을 중심으로 통증이 나타나며 30-50대 남자에 일하는 사람은 요주의 하셔야 합니다.
허리 디스크의 대표적인 증상은 허리가 아프고, 다리가 저리고 당기는 증상입니다. 대개의 경우 허리가 먼저 아프기 시작하며, 또한 엉치 부위가 시큰거리고 아프며, 둔부에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그러다가 얼마 지나서부터는 한쪽 다리가 저리고 아프게 되며 허리에서부터 한쪽 다리로 땡기는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아픈 부위 다리의 감각이 둔해지거나, 또는 발가락 운동에 힘이 빠지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누워서 다리를 쭉 뻗은 상태에서 한쪽 다리를 올려보면 통증이 심해서 다리를 잘 올릴 수 없게 되며, 다리를 들어 올리지 못하는 정도가 심하면 심할수록 디스크의 탈출증의 정도가 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허리디스크의 합병증으로 가장 많은 것이 마비입니다. 마비에는 운동마비, 감각마비, 대·소변 마비 및 성기능 마비가 있습니다.
이러한 합병증(마비의 증상)이 있을 때는 바로 의사의 진찰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적절한 치료의 시기를 놓치게 되면 이는 영구적 장애로 남을 수도 있으며, 평생동안 장애자로 지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부의 환자에서는 다리에 뚜렷한 마비의 증상이 있어 발목을 움직이지 못하면서도 '허리 수술'의 잘못된 편견 때문에 수술의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으며, 이때는 수술을 해도 환자의 마비증세는 회복되지 않습니다.
치료 방법은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대별할 수 있으며, 치료 방법을 선택할 때에는 증상 기간, 동통의 강도 그리고 재발의 횟수, 환자의 직업, 작업량 등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환자에서는 침상 안정, 약물 요법, 그리고 물리 치료 등을 시행하며, 그것으로 회복되는 경우가 많으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차적으로 보존적 치료를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러나 하지의 마비가 있는 경우, 신경 증상이 더 심해질 경우, 참을 수 없는 통증으로 생활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하게 됩니다.
소아마비와 같은 신경이나 근육의 질환, 선천성 기형, 신경 섬유종, 종양, 척추 감염 등을 비롯한 수십 가지 질환이 있지만, 대부분의 척추 측만증은 그 원인을 알 수 없으며(80~90%), 이러한 경우를 특발성 척추 측만증이라 부릅니다. 특발성 척추 측만증의 대부분은 청소년기에 발견되며 이를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 측만증이라고 부르며, 조기 발견하여 예방적 조치 및 치료가 필요합니다. 본원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기 검진 및 추적 검사를 시행합니다.
허리 디스크의 대표적인 증상은 단순 방사선 검사가 가장 중요하며 일어서서 사진을 찍어야 하는데, 보조기 착용이나 수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측만의 유연성을 알기 위하여 환자의 몸을 좌우로 굽혀 측굴곡 전후방 사진을 찍게 됩니다.
보조기치료법, 물리치료법, 카이로 프랙틱과 같은 척추교정법, 전기자극치료법
등이 있으나, 현재까지 척추측만증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은
보조기 치료법 뿐입니다. 척추가 20이하로 휘어진 대부분(약 90%)에서는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고 경과 관찰만을 합니다. 20~40 정도로 휘어진 경우
보조기를 착용합니다. 이것도 성장이 끝나는 사춘기 때까지만 착용합니다.
그 이후는 효과가 없습니다. 척추가 40~50 휘어진 경우는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성장이 멈췄다면 수술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주로 요추부에 많이 발생하는데, 허리에서 다리로 내려가는 '요추 신경' 이 눌려 다리가 저리고 보행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허리 디스크와 척추관 협착증은 비슷합니다. 하지만 허리 디스크에서는 말랑말랑한 젤리와 같은 디스크 물질이 신경을 누르는 반면, 척추관 협착증에서는 주로 뼈, 관절과 같은 딱딱한 조직이 신경을 누르게 됩니다. 따라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뼈, 관절이 점점 커져 신경이 지나가는 공간인 척추관이 좁아져서 신경을 압박하는 병이 척추관 협착증입니다.
허리 디스크와 마찬가지로 '요통'과 '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이 주증상 입니다. 항문 쪽으로 찌르는 듯 또는 쥐어짜는 느낌이나 타는 것 같은 통증과 함께 다리의 감각장애와 근력저하가 동반되는데 이는 찬 기후에 있거나 활동을 하면 악화되고 따뜻하게 해주거나 안정을 취하면 호전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허리 디스크와 구별되는 점은 '앉아 있을 때는 괜찮지만 조금만 걸어도 다리가 저리고 아파 앉아서 쉬었다가 다시 걸어야 하는 보행장애 증상'을 보이는 환자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증상을 '간헐적 파행' 이라고 하며, 어떤 의사들은 '간헐적 파행' 이 척추관 협착증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이라고 말합니다. 또 허리 디스크와 마찬가지로 요추 신경이 심하게 눌려 발가락이나 발목의 힘이 약해지는 수도 있기 때문에 증상만으로 허리 디스크와 척추관 협착증을 감별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척추의 뼈와 뼈 사이에 있는 탄력적인 추간 조직을 추간판(디스크)이라 하는데, 내부는 부드러운
수핵으로 되어있고 겉은 단단한 섬유륜으로 싸여있습니다. 보통 30세 이후부터 수핵과 섬유륜의
퇴행이 시작되어 추간판이 척추에 부착된 부위가 떨어져 골극(가시 같은 모양으로 뼈가 튀어나온 것)이
형성됩니다. 동시에 척추관을 구성하는 후관절돌기, 추궁, 황색인대 등에서도 변성이 오면서
두꺼워져서 척추관 전후, 좌우 사방이 좁아지며 여기에 척추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휘어 척수와
신경근을 직접 누르고 혈류 장애를 일으켜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와 같은 퇴행성 척추관
협착증은 운동량이 많은 요추와 경추에서 잘 발생되고, 흉추에서는 드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