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병 원인은 불분명하지만 주로 노화에 따른 어깨 관절 주위 연부 조직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발생되지만 그밖에 어깨 관절의 부상이나 깁스를 풀고 난 후 또는 입원 등으로 장기간 어깨관절을 사용하지 못한 후에도 발생되며, 어떤 경우에서는 원인 없이도 발생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밖에 당뇨병이나 목 디스크등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30-50%를 차지합니다.
처음에는 어깨부위가 가끔 아프며 조금 좋아졌다가 아프다하다가 점점 통증이 심해지면서 밤에 더욱 악화되어 잠을 설치게 되며, 목과 손가락 쪽으로까지 방사되는 통증을 나타내게도 됩니다. 환자들 중에는 "가만히 있을 때는 괜찮은데 팔을 위로 올리거나 뒤로 돌릴 때 어깨의 한 부위가 깨지는 것처럼 아프다."고 하거나,
"어깨부터 팔 뒤꿈치 있는 데까지가 쑤시고 아프면서 어깨를 들거나 돌릴 때는 통증이 더 심해진다.", "어깨가 아파서 머리를 감거나 옷을 입고 벗을 수가 없다."고들 호소합니다.
오십견은 아무런 치료를 하지 않더라도 6개월 내지 1년이 지나면 저절로 자연 치유되는 경우도 많지만, 어떤 경우에서는 고식적인 방법으로 치료를 해도 통증과 운동 장해가 오래 남는 경우도 드물지 않습니다. 가만히 있어도 낫는 병이라고 간과하지 말고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렇게 통증이 지속되는 환자 중에는 목 디스크를 동반하는 경우도 상당수 있다는 것과 골다공증이나 수술 후에 견관절 주위조직의 유착등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알고 이런 경우는 원인을 찾기 위한 정확한 검사를 시행하여 진단을 확실히 내린 후 원인에 따른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오십견의 치료는 신경 치료와 더불어 어깨 운동을 시켜 주어야 합니다.
팔을 들어올리거나 회전시키는 동작을 할 때에는 정상적으로 어깨 사이의 공간이 좁아지게 됩니다.
그런데 어깨 사이의 공간이 비정상적으로 좁아진다면 어떨까? 이 경우 좁아진 공간으로 인대와 점액낭이 자극을 받게 되어 염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팔을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통증은 마치 칼로 찌르는 듯 하며, 통증 때문에 생활에 지장을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바이올린, 첼로 등 일정 시간 동안 팔을 사용하는 연주자의 경우 충돌증후군의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충돌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증상에 따른 약물을 투여하고 물리치료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는 증상을 유발시키는 자세나 내부 구조에 대해 잘 알아보아야 합니다.
이런 보존요법으로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수술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허리 디스크와 마찬가지로 퇴행성 관절염이란 관절을 이루고 있는 연골이 손상되고 닳아 없어지면서 발생하는 관절의 염증을 말합니다. 이렇게 관절의 염증으로 인하여 연골이 없어지게 되면 통증과 함께 관절의 변형까지 유발하게 됩니다.
어깨의 경우 무릎이나 다른 부위에 비해 퇴행성 관절염이 흔치 않은 부위라 병의 말기가 되어서야 진단을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깨에 발생한 퇴행성 관절염의 경우 통증 제거, 증상의 회복과 함께 기능 유지, 변형 예방 등을 목적으로 치료에 임하게 됩니다.
처음에는 보통 약물요법, 물리치료 등과 같은 보존요법을 적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호전되지 않을 경우에는 수술 요법을 적용하게 되며, 관절 내시경을 이용할 경우에는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시행할 수 있습니다.
석회화건염이란 건에 석회질이 생겨 염증의 원인이 되고 딱딱해져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보통 어깨를 움직이지 못할 정도의 극심한 통증을 경험하게 됩니다.
석회화건염은 보통 X-ray 검사를 통해 쉽게 판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석회 주위로 신생 혈관이 생기고 세포들이 모여드는 시기인 흡수기에는 X-ray 상에서 잘 관찰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럴 때에는 정확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MRI, 초음파 등을 통해 검사하게 됩니다.
치료는 석회의 위치와 그 발생 시기에 따라 그 방향이 달라지게 됩니다. 비수술요법으로는 약물요법, 물리치료, 체외충격파요법 등을 적용할 수 있고 증상이 심각한 경우 또는 호전되지 않을 경우에는 관절내시경 등을 이용한 수술을 받아야 합니다.
견봉쇄골 관절은 어깨 관절을 자주 사용하거나 외상에 의해 손상될 수 있습니다. 견봉쇄골 관절이 손상되면 극심한 통증, 해당 부위의 멍 등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견봉쇄골 관절의 손상 정도는 늘어나기만 한 상태, 부분 파열, 완전 파열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완전히 파열된 경우 어깨와 팔이 분리되어 쇄골이 튀어나온 형태로 보입니다.
치료는 손상 상태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단순 고정으로 회복되는 경우에서부터 수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